캄보디아 교민사회, ‘생존’ 호소…그러나 사실은 외면된 채 비난만

기사입력 : 2025년 10월 31일

연합뉴스tv▲연합뉴스TV가 10월 29일 캄보디아 교민사회 위기를 집중 보도했다(사진: 유튜브 화면 캡쳐)

언론의 과장보도·정부의 늦장 대응이 낳은 후폭풍… 교민사회 ‘더는 버틸 수 없다

캄보디아 교민사회가 최근 온라인 스캠 관련 한국 언론의 과장 보도와 정부의 여행금지 조치로 인해 코로나 시기보다 더 큰 생업 위기를 겪고 있다.

연합뉴스TV는 최근 프놈펜 현지 상황을 직접 조명하며 “무분별한 범죄국가 낙인 보도가 지역경제를 붕괴시키고 있다”는 교민들의 목소리를 전달했다. 성수기를 앞둔 관광업계 예약 취소가 줄줄이 이어지고 대규모 투자와 사업은 전면 지연되는 등 피해는 이미 현실화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여론의 반응은 여전히 싸늘하다. 온라인 댓글에는 “사람이 죽어나가는데 장사부터 걱정하냐”, “교민들은 그동안 뭐 했나”와 같은 비난이 이어지고 있다. 교민사회는 “범죄 사건과 일반 교민·관광 산업을 동일시하는 것은 사실과 거리가 멀다”고 호소하지만 설명을 해도 돌아오는 것은 맥락을 무시한 질타와 배타적 시선뿐이라는 것이 현장의 현실이다.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국정감사에서도 이 문제가 지적되었다. 홍기원 의원은 최근 3년간 570여 건의 감금·갈취 사건이 신고되었지만 사건 이전까지 대사관 인력 증원은 행정원 1명, 경찰영사 1명에 불과했다고 지적하며 “정부의 소극적 대응과 직무유기가 사태를 키웠다”고 밝혔다. 또한 프놈펜의 여행금지 지정에 대해 “현지에서 위협을 체감할 상황은 아니다”라며 즉각적인 경보 하향을 촉구했다.

캄보디아 비상대책위원회는 10월 28일 성명서를 발표하고 ▲여행금지 해제 ▲언론 책임 보도 ▲교민 보호 체계 구축 등을 요구했다. 교민사회와 국회에서 같은 문제의식을 제기한 만큼 정부의 신속한 여행경보 조정과 실질적 지원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교민들은 “국가가 국민을 지킬 때 신뢰는 회복된다”고 호소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