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순칼럼] 영혼의 집

기사입력 : 2017년 11월 29일

먼 곳에서 울리는 듯한 파이프 오르간 선율, 실내 가득한 짙은 향내, 하얀 제의의 어린 복사들과 신부님의 행렬. 한 망자의 장례 예식에 참석했다가 종교에 입문한 나에게 종교란 다분히 상징적인 것이다. 세월이 갈수록 해석하기 어려운 세상 이치를 무지한 자신 탓으로 돌리기보다 신비(神秘)를 믿는 편을 택했다고 할까. 성聖스러운 것보다 성性스러운 것에 솔깃하고 아직도 신의 섭리에 대해 회의를 거듭하지만 동서고금을 망라해 ‘신의 사랑을 갈망’하는 우리 인간에 대한 애련한 마음은 어쩔 수 없다. 낯선 외국에 나와 살면서 같은 언어를 쓰는 동포들과 만나 한날한시에 같은 예를 올리노라면, 이방인으로 사는 의미가 뭔지, 생명을 얻어 사는 의미가 뭔지, 이런저런 사유를 하는 게 나 혼자만이 아닌 듯한 느낌도 그렇고, 공기를 가득 채우는 듯 간절한 기원들도 그렇다. “나 바람 나지 말라고 / 아내가 새벽마다 장독대에 떠 놓은 / 삼천 사발의 냉숫물…”, 내 남편 바람나지 않게 해달라고 빌었던 시인 서정주 아내의 기도, 내 새끼 잘 되게 해달라고 빌었던 우리 부모님의 기도, 남부러울 게 없어 보이는 사람 사람들의 간절해 보이는 기도…

이민 사회가 토착민 사회보다 더 종교적이라고 한다. 친지들과 주고받던 유대감이 단절된 이국땅에서 교우는 일종의 친족 대체물로 다가오기 때문이다. 미국이 유럽 본토보다 더욱 열성적인 기독교 국가가 된 것도 비슷한 맥락으로 풀이한다. 고국을 떠나온 사람들은 크든 작든 좌절을 겪은 경우가 많다. 모험 없는 인생만큼 초라한 것도 없을 테지만, 새로운 모색이 그렇듯이 살아온 루틴이 흔들리면서 사랑하는 이들에게 상처를 주거나 그 상처가 더 곪아 자신에게 되돌아오기 십상이다. 상처의 치유는 시간을 필요로 하고 시간은 늘 신의 영역이 아니던가. 어쨌거나 캄보디아에 살게 되면서 고국에선 미적지근했던 신심이 사뭇 더워진 건 사실이다.

푸삿의 성당 개보수를 핑계로 프춤번 연휴에 지방 나들이를 다녀왔다. 오래된 목조건물인 성당은 체중이 무거운 사람은 입장을 불허해야 할 정도로 낡아 있었다. 이상하게도 허물고 지어야겠다는 건축쟁이적 상상보다 신의 거처로 안성맞춤이라는 느낌이 들었다. 귀경차량이 몰려 서행하는 차창 밖으로 다양한 종교 건물이 눈에 들어왔다. 불교 사찰, 이슬람 모스크, 기독교 교회, 가톨릭 성당…, 하나같이 일반 가정집만큼이나 작고 소박하다. 세상 여러 종류의 종교를 섭렵해온 사람은 종교란 방이 많은 집과 같다고 한다. 전망 좋은 방을 좋아하는 사람, 편리한 방을 좋아하는 사람, 책이 많은 방을 좋아하는 사람…, 누구나 마음 붙일 곳이 필요하고 저마다 안락하게 느껴지는 처소를 찾는다는 의미일 테다. 캄보디아는 불교가 국교로 공포된 불교국가지만 여타의 종교와 조화롭게 공존한다. 종교분쟁으로 영일이 없는 민족과 달리 볼썽사나운 꼴은 찾아보기 힘들다. 모든 것에 정령이 있다고 믿는 캄보디아인 특유의 너그러운 종교관 때문인지 모르겠다. 사람들이 종교를 찾지 않게 되면서 정신과 문을 두드리게 되었다는데, 캄보디아에서 정신과가 성업하는 날은 생각보다 먼 훗날이 될 것 같다. /나순(건축사, UDD건설 naarch@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