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동원의 캄보디아를 위한 좋은 변화] 제17화 캄보디아 공교육에 대한 이해(1)

기사입력 : 2023년 12월 19일

장동원 칼럼11

캄보디아 공교육에 대한 이해(1)

5월의 날씨처럼 동아시안게임이 뜨겁게 진행이 되었다. 필자도 관심종목인 테니스 경기를 보러 경기장을 찾아가 선수들을 뜨겁게 응원했다. 그런데 정부의 방침에 따라 이 시기에 캄보디아의 모든 공립학교는 문을 닫았고 아이들은 집에 머물러 있어야 했는데 일부 사립학교만이 수업을 진행할 수 있었다. 이 기회에 많은 학생들이 경기장에 나와 특별한 추억을 만들면 좋았을 것 같다는 개인적인 생각이 있었지만 경기장을 찾은 아이들은 생각보다 많이 보이진 않았다.

지난 4월 11일 필자가 속한 굿네이버스 캄보디아는 전세계를 돌아다니며 5,000회 이상의 특강 및세미나를 진행한 자녀교육분야 전문 황경애(사모, 선교사, 작가, 사업가) 강사를 모시고 세미나를 주최했다. 황경애 강사는 자녀 셋을 모두 하버드 및 미국 명문대에 보낸 것으로도 유명하며 ‘꿈꾸는 엄마가 기적을 만든다’의 저자이기도 하다.

해당 세미나의 기회에 필자도 한 꼭지의 강의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는데 ‘캄보디아 교육현실과 굿네이버스 교육사업’ 이라는 주제로 나누었다. 이번 지면을 통해 당일에 다루었던 내용 중 캄보디아의 교육 현실에 대해 다시 한번 정리하고 독자들과 나누었으면 한다. 이를 통해 우리가 함께 더불어 살고 있는 캄보디아의 교육현실을 ‘어렵고’, ‘열악하고’, ‘도움이 필요하고’, 등의 정도로 막연하게 이해했던 것에서 벗어나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해하는 한편 그 이해를 통해 대한민국의 개발협력 및 NGO, 선교 사역 등의 최대 관심사인 교육분야에서 캄보디아와 더 잘 협력하고 도움을 줄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필자가 이번에 나누는 내용 및 지표들은 모두 캄보디아의 공교육에 관련된 것들이며, 대한민국의 공교육 지표들과 비교함으로써 독자들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육관련 주요 지표(유치원, 초중고, 2021년)1)

캄보디아에는 모두 13,681개의 공립학교(유치원, 초중고, 2021년)가 있으며 327만명의 학생과 94,718명의 교원이 있다. 그리고 눈 여겨 볼 만한 수치 중 특수학교(장애학생 등)의 수가 0인 점은 다소 안타까운 현실이었다. 기본교육이 온전히 보장되지 못한 상황에서 다른 특수영역을 배려할 수 있는 역량이 부족하다는 이해는 있기에 이런 분야에 우리가 좀더 관심을 기울이고 협력을 확대해가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있다. 참고로 대한민국에는 20,706개(유치원, 초중고, 2021년)의 학교와 187개의 특수학교가 있다. 학생수는 594만명이며 교원수는 약 50만명이다.2)

위의 지표를 바탕으로 보면 캄보디아는 교사 1인당 34.59명의 학생 비율을 보이고 있고, 대한민국은 교사 1인당 11.73명의 학생비율을 보이고 있다. 교사학생 비율은 교육의 질을 가늠할 수 할 수 있는 주요한 잣대 중 하나이다.

캄보디아에 거주하거나 바탐방 지역을 방문할 때면 ‘바탐방은 교육의 도시다’라는 말을 듣곤 했는데 실제로 캄보디아에서 학교가 가장 많은 지역이 바탐방이다. 1,170개의 공립학교가 있는데 이는 프놈펜, 시엠립, 프레이벵 지역보다 많은 수치이다. 지역들 간의 비교수치에서 등록학생수와 학교수는 꼭 비례하는 것은 아님을 알 수 있으며, 한 지역의 교원수도 학생수에 비례하는 것은 아니었는데 매우 흥미로운 대목이다. 이를테면 프놈펜지역은 타지역보다 학생수 대비 더 많은 교원수를 확보하고 있었으며, 시엠립의 경우 타지역에 비해 학생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교원수는 많이 부족해서 교사 1인당 학생 비율이 46.9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런 현상에 대한 교원들의 답을 종합해보면 지방근무 기피, 지역별 교육 접근성의 차이, 수도권 및 도시 집중 등에서 오는 것으로 보여지는 데 그 예가 수도 프놈펜의 경우 학생교사 비율은 26.5명인데 반해 1개 교실당 학생수는 60.6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는 수도권지역에 학생수가 집중되고 있는 반면 교육시설(교실)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을 말해주고 있다. (계속)

1)     Public Education Statistics and Indicators 2021-2022, MINISTRY OF EDUCATION, YOUTH AND SPORT

2)     KESS 교육통계서비스, 한국교육개발원

장동원,  Jang Dongwon, Kenneth 굿네이버스 캄보디아 지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