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순 칼럼] 개념을 찾아서

기사입력 : 2017년 02월 23일

일제시대 이조백자 하나 갖기가 소원이던 일본 아낙이 어느 날 한국인으로부터 모란꽃이 그려진 요강을 선물 받았는데, 뚜껑까지 딸린 이 앙증맞은 단지의 용도를 몰라 밥통으로 썼다는 꽁트를 읽은 적이 있다. 6.25전쟁 직후 벽촌에서 서울로 식모살이 온 처자가 말간 물이 새록새록 채워지는 양변기를 샘으로 오인하여 변기 물을 퍼다 밥물로 썼다는 얘기도 있다. 바닥 닦던 걸레로 식탁을 쓱쓱 훔치는 캄보디아 사람과 맞닥뜨리게 되면 그게 우스개가 아니었구나 싶어진다.

캄보디아 거리에서 잠옷 입은 사람이 심심찮게 눈에 띈다. 변변한 옷 한 벌 없던 궁핍한 시절에 대한 반동으로 서민층에서 과시용으로 입고 외출한다는 설이 있는가 하면, 옷값이 싸고 통풍성과 활동성이 좋아 ‘츄리닝’ 대용으로 입는다는 설도 있다. 어쨌거나 위아래 무늬가 같아야 처 준다는데 구호물자에 의존하던 시절에는 한국에서 건너온 환자복 차림으로 자랑스레 활보하는 사람도 더러 있었다고 한다. 어쨌든 잠옷 바람으로 다니는 사람을 만나게 되면, 어지간히 쇼핑하다 침대가 잔뜩 진열돼 있는 매장에 들어설 때처럼 갑자기 졸음이 몰려온다.

캄보디아인에게 교통질서에 대한 개념을 기대하기란 시기상조다. 그 흔한 운전면허조차 없는 처지라 차를 얻어 타고 다니다보면, 교차로의 신호등이 작동하는데도 자석에 쇠붙이 달라붙듯 차량들이 엉켜있기 일쑤다. 서로 먼저 가려고 신호와 차선을 무시하고 끼어들기 때문이다. 트럭이 중앙선을 넘어 역주행해 오거나 골목에서 오토바이가 경주하듯 튕겨 나오는 아찔한 순간에는 운전 배우지 않기를 참 잘했다 싶어진다(운전대를 잡은 점잖은 친구 입에서 “덥 쁘람바이!(열여덟!) 소리가 여러 차례 나올 정도니). 한 때 외국인들 사이에 “인생이 따분하면 서울에서 운전대를 잡아라”는 말이 유행했다. 이제 “서울”보다 “프놈펜”이다!

캄보디아인은 위생개념 또한 희박하다. 그 옛날 절대주의시대 변소가 없던 베르사유궁의 귀부인들이 가로수를 방패삼아 용변을 보는 것을 빗대 궁전의 가로수 길을 “신음의 가로수 길”이라 칭했다던데, 21세기 도로에서 멀쩡한 남자들이 전봇대를 방패삼아 용변을 보기 일쑤니 “부르르 떠는 전봇대 길”로 칭해야 할 판이다. 농촌에서는 가축과 생활을 공유하는 부분이 많은데다 아무데나 배변하는 습관을 버리지 못해 수질오염에 의한 발병이 빈번하다. 말라리아, 결핵, 에이즈 사망률을 능가하는 ‘설사병’으로 인한 희생자 수가 여간해서 줄지 않고 있다.

교통질서와 위생을 비롯한 제반분야의 ‘무개념’이 부른 사회적 결과는 생각보다 심각하다. 안전사고와 공중위생에 관련된 사망률이 높아 평균수명이 60세 전후에 머물러있다. 선진국에 비해 20년 넘게 짧은 것이다. 대개 한 국민의 정신은 교육에서 비롯된다. 캄보디아도 점차 생활이 나아지고 문화체험이 늘면서 교육의 질이 향상되면 ‘개념’이라는 것도 발전할 텐데…/ 나 순(건축사, 메종루비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