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 의료 지원을 위해 더 많은 의사 필요Posted 1295 days ago
- 태국 국경 개방과 동시에 통행증 신청 쇄도Posted 1295 days ago
-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수 제로를 향하여 5월1일 단 2건에 그쳐Posted 1295 days ago
- 캄보디아-베트남 국경 인접 7개주 도로망 건설Posted 1295 days ago
- 5월 초 집중호우·홍수경보Posted 1295 days ago
- 캄보디아-베트남 돼지고기 밀수 단속 강화Posted 1295 days ago
- 미국, 캄보디아에 코로나19 백신 200만 회분 기부Posted 1295 days ago
- 캄보디아 2022 경제 성장률 5.4%로 하향 조정Posted 1295 days ago
- 캄보디아 학교 폭력, 금품 갈취는 기본, 교사 폭행 등 심각Posted 1295 days ago
- 캄보디아, 우기 오기도 전에 폭우로 6명 사망, 재산 피해 수백Posted 1295 days ago
[김혁의 헬로 캄보디아] 캄보디아의 도시화 진행
전 세계 인구의 절반이상이 도시에 살고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인류 역사 전체를 돌이켜 보면 인간이 도시라는 곳에 모여서 살게 된 것은 비교적 최근에 발생한 현상입니다. 굉장히 오랜 기간동안 전 세계 사람들은 작은 공동체를 이루며 흩어져서 살았습니다. 그러다 지난 몇 세기 동안, 특히 최근 몇 십년사이에 농촌지역에서 도시로 대규모 인구 이동 현상이 발생된 것은 오늘을 사는 저희에겐 흥미 있는 현상이 아닐 수 없네요.
오늘은 ‘도시화 현상’과 부동산에 대해 이야기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날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도시 지역에 거주하고 있을까요?
아래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현재 40억 명 이상의 사람들이 도시 지역에 거주하고 있고, 이는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도시에서 생활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유엔은 이러한 중요한 전환점, 즉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 수가 농촌 지역을 초과한 시점을 2007년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출처 : World Bank based on data from the UN Population Division (2025)
도시 지역에 거주하는 인구의 비율은 국가별로 어떻게 다른지 한번 볼까요?
대부분의 고소득 국가들, 즉 서유럽, 아메리카, 호주, 일본, 중동 지역에서는 인구의 80% 이상이 도시 지역에 거주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중 상위 소득 국가들, 즉 동유럽, 동아시아, 북부 및 남부 아프리카, 남아메리카에서는 50%에서 80% 사이의 인구가 도시 지역에 거주하고 있고, 많은 저소득 및 중하위 소득 국가들은 여전히 대다수가 농촌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캄보디아의 도시인구 비중은 26%로 저소득 국가 평균보다도 낮은 수준이네요. (* 1970년 – 1980년 사이의 캄보디아 도시화 인구 그래프를 보면, 참으로 안타깝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렇게 극단적인 역사를 가진 나라가 또 있을까요.)
도시화 인구를 정의하고 발표하는 주체마다 도시에 대한 정의나 측정 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숫자로는 약간의 차이를 보이겠지만, 다음의 몇 가지 사실은 흥미로운 현상입니다.
1. 숫자로 보면 굉장히 많은 도시화가 이루어진 것 같지만, 사실상 인간이 사용하고 있는 도시의 면적이 지구 전체의 1%가 되지 않는 다는 점.
2. 전세계적으로 도시화율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몇 십년간 특히 저소득 – 중위소득 국가에서 더욱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다는 사실.
3. 캄보디아의 도시인구 비중은 저소득 국가 평균 (35%)보다도 낮은 수준 (26%)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
도시화가 진행된다고 해서 그 국가가 잘살게 된다는 논리가 아니고, 도시화 진행은 국가가 발전하면서 발현하게 되는 하나의 현상이자 결과라고 봐야 합니다. 캄보디아의 도시화 비중은 전세계적으로도 가장 낮은 수준이기 때문에 캄보디아의 경제가 꾸준히 발전한다면 도시화 진행이 가속될 것이며, 이는 도시의 면적 팽창, 부동산의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입니다.
최근 미국 관세를 피해 다양한 국가에서 상대적으로 관세가 낮은 캄보디아로 제조 공장을 이전하는 사례가 급격히 증가 하고 있습니다. 이는 캄보디아가 농업 중심국가에서 제조업 비중이 늘어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며, 도시화 진행에도 큰 영향을 미 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글쓴이 김 혁 대표는 2007년부터 캄보디아에서 부동산, 호텔 개발 및 운영 사업을 하고있습니다. 더 많은 글을 보고 싶으시다면 “아룬 캄보디아” 블로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인포맥스 부동산
- 한국 : 010 – 8600 – 4448 (김영식 지사장)
- 캄보디아 : 017 – 222- 450 (김민희 실장)
* 글쓴이 / 김혁 (아룬 캄보디아, 인포맥스 대표)
* 네이버 블로그 : 아룬 캄보디아
* 유투브 : 헬로 캄보디아
이메일: informax.ceo@gmail.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