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 의료 지원을 위해 더 많은 의사 필요Posted 1246 days ago
- 태국 국경 개방과 동시에 통행증 신청 쇄도Posted 1246 days ago
- 코로나바이러스 확진자수 제로를 향하여 5월1일 단 2건에 그쳐Posted 1246 days ago
- 캄보디아-베트남 국경 인접 7개주 도로망 건설Posted 1246 days ago
- 5월 초 집중호우·홍수경보Posted 1247 days ago
- 캄보디아-베트남 돼지고기 밀수 단속 강화Posted 1247 days ago
- 미국, 캄보디아에 코로나19 백신 200만 회분 기부Posted 1247 days ago
- 캄보디아 2022 경제 성장률 5.4%로 하향 조정Posted 1247 days ago
- 캄보디아 학교 폭력, 금품 갈취는 기본, 교사 폭행 등 심각Posted 1247 days ago
- 캄보디아, 우기 오기도 전에 폭우로 6명 사망, 재산 피해 수백Posted 1247 days ago
훈센 상원의장 “참전용사 급여예산 두 배 확대”
▲ 훈센 참의원 의장이 9월 29일 열린 캄보디아 참전용사협회 임시총회에서 해당 결정을 발표하고 있다.
캄보디아 정부가 2026년부터 참전용사와 공무원 퇴직자에 대한 급여 예산을 연간 약 80억 리엘(200만 달러)로 증액하기로 했다. 훈센 상원의장은 이 같은 결정을 발표하며 자격을 갖춘 퇴직자들을 지역사회 지도자로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훈센은 현재 국가에서 11만6500명의 참전용사와 15만8618명의 부양가족, 5만6779명의 퇴직 공무원과 4만6448명의 부양가족이 사회보장제도로부터 혜택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많은 인원이 사회보장제도에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들의 생활을 지원하기 위한 급여 예산 증액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지난 9월 29일 캄보디아 참전용사협회 임시총회에서 “훈마넷 총리가 2026년부터 연간 예산을 40억 리엘에서 80억 리엘로 인상하는 데 동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정부는 참전용사와 퇴직 공무원 및 그 부양가족들의 생활 수준을 향상시키고 행복을 보장하기 위한 지속 가능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했다”고 말했다.
정부는 2024년 1월부터 전사자 유족과 퇴직 공무원 가족에게 월 3만 리엘(7.5달러)을 지급하고 있으며, 2025년 4월부터는 일상생활 수행 능력이 제한된 참전용사 및 퇴직 공무원에게 최소 월 84만5000리엘(약 211달러)을 지원하고 있다.
훈센은 조기 퇴직자와 정년 퇴직자 간 임금 격차 문제도 언급하며, 조기 퇴직자가 상대적으로 낮은 급여를 받아 연금 혜택에서도 불리한 처지에 놓였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러한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캄보디아 참전용사협회 회장이기도 한 훈센은 퇴직 퇴직 공무원들을 협회 회원으로 포함시키고 협회 명칭을 ‘캄보디아 참전용사 및 퇴직자협회’로 변경할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그는 18년 전 설립된 협회가 참전용사를 지원하고 그들의 역할을 강화·확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며 참전용사들이 단결해 생계를 개선하는 데 기여했다고 설명했다.
훈센은 “참전용사를 위한 협회는 있지만 퇴직 공무원들은 어떻게 하겠느냐”며 “국가와 지방 차원의 공무원들에게 안타까운 일이다. 따라서 이들을 한 울타리 안에 모아 우리가 그들을 아끼고 함께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각 부처와 국가 기관 내에 ‘참전용사 및 퇴직자협회’ 위원회를 신속히 설립하고 장관들이 협회 회장직을 맡아 정관과 지침에 따라 운영할 것을 촉구했다.
훈센은 자격과 역량을 갖춘 참전용사와 퇴직자를 지역사회의 지도자로 적극 등용하라고 지시하며 이들이 국가에 봉사할 잠재력이 크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 빈곤 가정 출신 참전용사 및 퇴직 공무원의 자녀들에게 단기·장기 교육과 장학금을 지원하고 생활 여건 개선을 위해 소액 대출과 긴급 재정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훈센은 “부모가 생계 능력을 잃은 뒤 자녀들이 빈곤에 빠지는 것을 보고 싶지 않다”며 “이는 결코 가벼운 문제가 아니다. 부모가 은퇴한 뒤에도 자녀들이 스스로 생계를 이어갈 수 있도록 충분한 훈련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토지관리부에 전직군인과 참전용사, 그리고 극빈 퇴직 공무원들에게 사회적 토지 양여를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계속 검토·평가하라고 지시했다. 또한 이미 지역 내 토지를 보유한 참전용사와 퇴직 공무원들을 위해 주택을 건설하는 협회의 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할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