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혁의 헬로 캄보디아] 프놈펜의 확장과 링로드(외곽순환로) 개발

기사입력 : 2025년 08월 29일

김혁의_캄보디아_부동산_파헤치기텔레그램용v2

캄보디아 부동산에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한번쯤은 프놈펜의 링로드 (외곽순환도로)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보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많은 분들이 최근 개발된 3번 링로드에 대해서 많이 알고 계신 텐데 그럼 1번 2번 링로드는 이미 어딘가 있다는 이야기 인데, 도대체 어디가 1번 2번 링로드 인 것이며, 앞으로 4번 5번 링로드도 개발이 된다는 이야기 인가?? 하고 궁금함을 느끼시는 분들이 많으실 것 같아서, 오늘은 프놈펜의 링로드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1. 링로드는 왜 만드는 걸까요?

프놈펜이 점차 확장 되면서 도심부는 상업, 오피스 지구로 바뀌고 프놈펜 외곽은 주택단지들로 개발되어서 주택지에서 상업, 오피스 지구로 출근 퇴근을 하는 인구가 급격히 증가 하였습니다. 이 때문에 주거지역과 상업지구를 잇는 주요 도로 의 교통체증은 날로 증가하고 있고, 이 때문에 북쪽에서 남쪽으로 동쪽에서 서쪽으로 도심을 가로질러 이동한다는 것이 점점 어려워 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교통체증을 완화하고 지역간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도심을 관통하지 않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외곽도로가 필요하게 되고, 이 도로의 위치는 프놈펜 도심부의 크기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2. 3번링로드는 알겠는데, 그럼 1번 2번 링로드도 있다는 건가?

아래 이미지 자료에서 볼 수 있듯이 링로드 1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271도로, 링로드 2번은 ‘하노이 도로’의 연장도로임을 알 수 있습니다. 이미 우리가 일상속에서 사용하고 있는 도로였던 것이죠. 1번 2번 링로드가 신규로 개발될 당시는 프놈펜의 활용면적이 그만큼 작았기 때문에 3번 링로드처럼 큰 지역을 커버할 필요 없이 작은 단위의 순환으로 개발되었고, 개발이후 프놈펜이 확장 되면서 더 이상 외곽도로가 아닌 도심부 도로의 하나처럼 인식되기 시작했고 사람들은 1번 2번 링로드라고 부르기 보다는 편하게 도로 이름을 부르기 시작한 것입니다.

2431414

3. 3번 링로드가 중요한 이유

다른 링로드에 비해서 3번이 유독 중요한 이유는 주요 인프라시설들을 이어주는 동맥 같은 역할을 하는 도로이기 때문입니다. 3번 링로드는 북부 주거신도시로부터 시작해서 현재의 공항 (짜음짜으), 신공항 (프놈펜 남부)를 거쳐 프놈펜 항만까지 연결되는 루트를 가지고 있어 향후에도 가장 활용도가 높은 도로로 이용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우리가 생각하는 링로드 (외곽순환도로)는 자동차 전용 도로임에 반해, 캄보디아의 링로드는 자동차 전용도로가 아니기 때문에 아직 여러 번의 신호대기와 교통체증구역을 지나야 하지만 정체 구간마다 스카이 브릿지를 연결하고 일부 구간은 자동차 전용 구간으로 변경할 여지도 있어 보입니다.

최근 링로드 3번의 일부가 완공되면서 주택단지들이 3번 링로드 주변으로 빠르게 확장되고 있습니다. (리용팟 골프장인근, 신골프장 인근, 신공항 인근, 프놈펜 포트인근)

 

3. 앞으로 링로드 개발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

자료 이미지에서 알 수 있듯이, 프놈펜의 링로드 계획은 4번 링로드 까지 입니다. 4번 링로드의 개발 계획이 프놈펜의 행정경계와 거의 일치하는 것을 보면, 캄보디아 정부의 프놈펜 확장 청사진을 가늠해 볼수 있을 것입니다. 또 관심있게 지켜보아야 할 것은 지금의 링로드는 사실상 반쪽짜리 링로드며 (아직 순환고리를 연결하지 못한 반쪽짜리 링) 결국에는 메콩강을 건너는 다리를 건설하여 강 넘어로 도로를 연결해야 진정한 순환도로의 기능을 갖추게 될 것입니다.

 

토지는 생산이 되지 않는 상품이기 때문에 오로지 ‘확장’이라는 방법으로만 공급할 수 있습니다. 이 ‘확장’의 해답은 ‘도로’가 가지고 있고 ‘도로’를 공부하는 것이 현명한 부동산 투자의 초석이 될 것입니다.

 

헬로 캄보디아 큐알코드

*글쓴이 김 혁 대표는 2007년부터 캄보디아에서 부동산, 호텔 개발 및 운영 사업을 하고있습니다. 더 많은 글을 보고 싶으시다면 “헬로 캄보디아” 블로그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인포맥스 부동산
- 한국 : 010 – 8600 – 4448 (김영식 지사장)
- 캄보디아 : 017 – 222- 450 (김민희 실장)

글: 김혁
– 인포맥스 대표 컨설턴트 / 사장
– 아룬 디벨롭먼트 대표이사

이메일: informax.ceo@gmail.com

온라인으로 바로보기 링크: https://blog.naver.com/informax-cambodia/2237670626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