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우칼럼] 어떤 집에서 사나

기사입력 : 2016년 05월 23일

몇 년 사이에 프놈펜에 아파트가 많이 늘어났다. 지금은 중단된 상태로 있는 캠코시티 프로젝트는 캄보디아에 본격적인 아파트 문화를 심는 시발점이 되었다. 이와 함께 요즘에는 작은 규모의 아파트들이 곳곳에 속속 들어섰다. 캄보디아 사람들이 아직은 아파트 생활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한국같이 인기있는 주거 공간으로 자리잡지는 못하고 있다. 여러 세대가 한 집에 살아야 하는 캄보디아의 가족 형태상 현재는 아파트가 그리 인기를 얻고 있지 못하지만 점차 핵가족화 되면서 아파트를 선호하는 사람들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외국의 다른 도시에 비해 비교적 낙후되어 있는 프놈펜에는 여러 가지 주거 형태가 공존한다. 넓은 대지에 쾌적한 주거 공간과 정원을 갖춘 빌라(한국의 단독 주택)가 있는가 하면, 통나무나 판자로 벽을 치고 함석이나 초목으로 지붕을 얹은 집들이 있다. 당연히 앞엣것은 돈 있는 사람들이 사는 집이고 뒤엣것은 일반 서민들이 사는 집이다. 그런데, 캄보디아에는 한국에서 찾아볼 수 없는 주거 형태가 있다. 바로 플랫하우스다. 여러 세대가 나란히 붙어 있는 2,3층의 공동 주택인데 아래서부터 위까지가 한 세대로 구성되어 있다.

플랫하우스 한 세대는 앞쪽에서 보면 가로 폭이 3~5미터 정도 되지만 건물 앞에서 뒤까지는 길이가 10~15미터 정도로 한 층의 바닥이 장방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아래층에는 보통 현관 겸 거실과 주방이 있고, 그 위층부터 여러 개의 방이 배치되어 있다. 방이 열 개가 넘는 플랫하우스도 있다. 여러 세대가 함께 살아도 층별로 반독립적인 주거 공간을 갖추고 있어서 캄보디아 사람들이 가장 선호하는 주거 형태가 바로 플랫하우스다. 지금은 건축법이 바뀌었지만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모든 건축물은 땅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는 규정이 있어서 그와 같은 구조의 주택으로 정착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

도시 지역을 벗어나면 주거 형태가 크게 달라진다. 큰 도로 주변에 벽돌이나 시멘트로 번듯하게 지은 집들이 있기는 하지만 시골로 들어가면 초목으로 지은 집들이 대부분이다. 나무 기둥을 세운 다음 그 위에 판자나 대나무로 바닥을 깐 형태인데 지붕이나 벽은 캄보디아에 흔한 억새 잎이나 야자수 잎을 얹는다. 네 귀퉁이에 기둥만 서 있는 아래층은 주로 휴식 공간으로 쓰고 그 위에 방이 있다. 더러 나무판자로 칸을 막아 몇 개의 방으로 나누어 쓰는 집도 있지만 대개는 툭 터진 공간 하나를 온가족의 침실로 쓴다. 바닥에서 2미터 정도 올려 초목으로 지은 집이기 때문에 계속되는 무더위와 자주 내리는 비를 피해서 살기에 안성맞춤이다.

호숫가나 강가에는 한쪽 기둥을 물속에 박아 육지에 인접해 지은 집이 있는가 하면 아예 물 위에 지은 수상 가옥도 있다. 또, 소수이긴 하지만 쪽배 하나에 온가족이 기거하는 선상족도 있다. 물고기를 잡거나 이를 가공해서 생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이 주로 이런 곳에 사는데 더위를 피하는 데는 어느 주거 형태보다 좋다. 산악 지역에 사는 일부 소수 민족은 움막을 짓고 살기도 한다.

프놈펜에는 날로 새 집들이 들어서고 있지만 비를 피할 집이 없는 사람들도 있다. 시골에서 올라와 공원이나 공터를 전전하며 하루 벌어 하루 먹는 사람들이 그들이다. 늘 더운 나라라 가능한 일이다. 그런데, 땅값과 집값이 크게 오르고 도시 개발이 가속화 되면서 이들의 설 자리가 점점 좁아지고 있다. 변두리로 변두리로 내몰리면서 집 없는 설움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