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민의 똑똑! 사회적 기업] <이론편 2주차> 사회적기업의 개념

기사입력 : 2019년 01월 07일

사회적기업_2(개념)

‘사회적 기업, 사회를 위한 기업? 혹은 사회적인 이념의 기업?’ 언뜻 보면 사회주의, 공산주의 색체가 떠오르기도 하고, 사회를 위한 기업이라는 말에서 비영리단체의 느낌이 나기도 한다. 이 때문에 사회적 기업이라는 말이 처음 사용 되었을 때 사람들은 그 단어의 자의성을 무척 혼란스러워했다. 2018년인 지금은 주위에 많은 사례들을 접할 수 있기에, 사회적 기업, 곧 ‘사회(Social)를 생각하는 기업’이라는 개념이 정립되었으나, 처음 용어가 사용된 2007년에는 사회적 기업, 곧 사회주의(Socialism)를 떠오르게 했기에, 그 용어를 재조정해야 한다는 움직임이 있었다. 그도 그럴 것이 당시 김대중 대통령에 이어 노무현 대통령은 북에 대한 햇볕정책을 표방했고, 금강산 여행에 이어 개성 공단이 개방 되면서, 자연스럽게 ‘사회적 기업 육성법’이 북과 연관된 법안이라 오해를 받을 수 있는 상황 이였다.

 

대부분의 신조어는 모두가 공감하는 문화 안에서 형성된다. 그것은 곧 개념(혹은 물체)가 생기고 그것을 부를 필요성이 생기면서 다수의 사람들이 자의적으로 단어의 의미를 만들어 준다. 이것은 자연스럽게 이해되고, 부르기 편하다. 하지만 사회적 기업처럼 정부에서, 혹은 특정 전문가 집단에서 만들어 통용되는 단어들이 있다. 예를 들어, ‘디자인 띵킹 (Design thinking)’이라는 단어를 살펴보면, 그동안 ‘디자인’은 미술용어로 인식되고 주로 사용되었는데, 최근엔 예술과는 무관하게 ‘무엇인가를 창의적으로 설계하는 개념’으로 자주 언급된다. 이렇듯, 사회적 기업이라는 단어가 쉽게 읽히지 않고, 한 번에 이해되지 않는 것도 이러한 맥락 때문이지 독자의 이해도가 낮아서 그런 것이 결코 아니다.

 

그렇다면 왜 하고 많은 단어 중에 ‘사회적 기업’이라는 단어를 선택했을까? 정부는 단지 Social(사회적) Enterprise(기업)라는 유럽의 개념을 따와 그대로 직역하여 부른 것이다. 때문에 소셜 엔터프라이즈(Social Enterprise)라는 영단어의 맥락에서 살펴보는 것이 개념 설명에 더 용이하다. 엔터프라이즈는 기업이다. 이것은 명료하다. 반면에 소셜은 우리가 가지고 있는 ‘사회’의 개념보다 더 공적이고, 긍정적인 느낌이며, ‘공동체, 함께, 선한, 개인적이지 않은, 다수를 위한 입장에서’의 키워드를 가지고 있다. 한국어의 ‘우리’라는 단어의 느낌이다.

즉, 사회적 기업이란, 일반 기업과 같은 비즈니스 모델을 가지고 있고 영리활동을 추구하지만, 궁극적으로 사회 공동체를 위한 활동이 비전에 포함되어 있는 공적인 기업인 것이다. 이것에 대해 비영리 기관(NPO), 혹은 비영리 단체(NGO)와 혼선될 우려가 있으니, 필자는 그 구분을 명확히 짚고자 한다.

똑사 2

그림은 사회적 기업 진흥원 홈페이지에서 명시한 ‘사회적 기업의 영역’이다. 가치창출을 기준 패러다임으로 기관을 살펴볼 때, 가장 왼쪽이 비영리 기관으로 사회적 가치를 높게 추구 하고, 오른쪽으로 갈수록 경제적 가치를 추구하여 맨 끝이 일반 영리 기업인 것이다. 즉, 제 3섹터인 시민단체와 제 2섹터인 기업에 교집합 영역으로 존재 하는 것이 사회적 기업이며, 정부는 ‘착한 기업*’,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과 함께 적극적으로 ‘사회적 기업’을 육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떤 활동을 해야 사회적 기업일까? 다음 주에는 사회적 기업의 유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하자./조현민

 

*착한기업: 소비자에게 합리적인 가격제시, 근로자에 대한 배려, 복지가 좋은 기업 등 예)오뚜기 기업

*CSR: 기업 수익의 일부를 자선, 기부, 환경보호 등 사회공헌 활동으로 지출 예)현대의 아쇼카 재단

조현민

*필자 이력: 정책학 석사, 사회적기업 리더 전문가과정 수료(중앙대학교 창업대학원), 개발협력 SNU전문가과정 수료(서울대학교 글로벌사회공헌단), 2017년 사회적기업 육성사업 선정(글로벌 특화 부문), 현 DO I DO 대표